[대신증권 김귀연][Issue Comment]자동차/부품: 자동차 관세 추가 상향만 없다면

관또속(관세 또 속아)? 관또믿(관세 또 믿어)?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자동차 업종 부진 지속. 2025.04월 저점 대비 코스피 +39% 상승한 반면, 자동차업 상승률 +21%로 시장대비 -18%pt 언더퍼폼.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1) 시장 수요둔화, 2) 실적 악화 우려로 신정부 밸류업 (상법개정/배당소득 분리과세/자사주 소각 등) 모멘텀 관련해서도 특정 종목 외 관심 제한적인 모습. 관세가 자동차 업종의 추세적인 상승 위한 선결 조건이라는 의견은 여전히 유효하나, 1) 주요국(유럽/일본 등)의 관세 협상 임박, 2) 8/1일 상호관세 유예시점 도래에 따른 관세 상황/영향 재점검해볼 필요. 우려 지속 선반영해온 상황에서 1) 관세 완화 가능성, 2) 강도에 따른 자동차 업종 상승여력 분석

자동차 품목관세 시나리오: 25%에서 추가 상향만 안된다면?

미국과 영국/베트남/인니 간 관세 협상 마무리된 가운데, 한국/유럽/일본 등 주요국 협상 진행중. EU/인도와는 합의 임박한 것으로 파악. 한국도 8/1일 전까지 원칙적 합의(framework deal) 가능성 높은 상황. 기존 관세율 25%에서 추가 상향 없다면, 단기 자동차 업종 상승 가능할 것. 관세율 5%pt당 현대차/기아의 연간 OP 민감도는 각각 1.1조원/6,500억원(p.7 그림 20). 24년 OP 대비 6%/5%, 관세 반영된 25년 추정OP 대비 10%/6% 영향. 7월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따른 실적/투심 변화 가능성 주목

Case1 25% 이상 (Negative): 자동차 업종 소외 지속 불가피할 것

Case2 25% 유지 (Neutral /Positive ): 선반영된 우려 감안 시, 불확실성 제거 측면에서 긍정적. 하방 부담 제한적인 상황에서 1) 2Q25 시장랠리에서 소외됐던 부분에 대한 키맞추기 , 2) 업종 모멘텀(로보틱스 /밸류업/주주환원 /CID) 수혜에 따른 주가 움직임 예상

Case3 25% 이하/쿼터제 (Positive) : 2Q25 시장 랠리에서 소외 지속된 상황에서 관세 완화된다면, 단기 강한 반등 예상. 1) 실적 상향, 2) 시장 대비 주가 할인율 축소, 2) 미국시장 내 상대적으로 유리한 수익성/가격/MS전략 가능성, 3) CID 이벤트 모멘텀(현대차/모비스), 4) 배당매력도 주목. 키맞추기 관점에서 1) 시총 비중 감안 시, Upside +15%, 2) PBR 할인율 축소 측면 감안 시, Upside +18% 존재(p,11 그림 28&29).

투자아이디어: 관세 협상 전개에 따라 비중 확대 고민 필요한 시점

7~8월 한국 및 EU/일본 주요국 관세 협상에 따른 노이즈 예상. 다만, 관세율 추가 상승 가능성 낮아진다면, 변동성 확대 시 업종 비중확대 전략 유효. 1) 협상 완료된 국가 중 25% 이상 관세율 부과된 국가 없고, 2) 최근 우호적인 한미 협상 분위기 감안 시, 업종 비중 확대 재차 고민해볼 필요

Top Picks: 완성차(현대차=기아), HL만도, 현대오토에버, SNT모티브

종목선호도: 완성차(현대=기아) > 만도 > 현대오토에버 > SNT모티브 > 에스엘> 현대모비스 > 타이어(한국>금호=넥센) > 현대위아 > 명신산업 > 한온시스템

미국 주요 교역상대국별 관세율 협상 상황

교역국 대미 관세 미국 상호관세 현황
영국 10% 10% - 6/16일, 미국산 농축산물 등에 시장 개방, 일부 관세 인하(기본관세 10% 유지)
- 영국산 자동차 10만대에 한해 10% 관세 쿼터제 시행
- 철강/알루미늄 관련 최혜국대우 관세(1.8%) 쿼터제 시행
베트남 90% 46 => 20% - 베트남산 수출품 일반 관세 20%, 미국산 제품 0% 무관세 적용
- 제3국 통한 우회 수출 시, 40% 고율 관세 부과
인니 64% 32 => 19% - 미국산 에너지, 농산물, 항공기 등에 대해 관세 전면 철폐
- 에너지($150억)/농산물($45억)/항공기($70억/50대) 구매 약속
- 제3국 통한 우회 수출 시, 35~40% 고율 관세 부과
중국 67% 54% - 5/12일, 90일간 중국산 제품 145 => 35% , 미국산 제품 관세 125% => 10% 인하
- AI칩 수출 재개, 경수소/항공/SW/희토류 등 수출 일부 허용. 우회환적 금지
대한민국 50% 25% - 미국, 미국산 농산물, 디지털&컨텐츠 관련 시장 개방 확대. 미국 내 설비 투자 및 에너지 구매, 조선 협력 등 요구
- 한국, 8/1일 이전에 합의 도출 노력
일본 46% 24% - 8/1일 25% 관세 부과 예고. 7/20일 참의원 선거로 합의 어려운 상황으로 파악
- 미국산 농산물/에너지/자동차 수입 확대, 반도체/디지털 산업 관련 비관세 규제 완화 요구
EU 39% 10% - 7/12일, 30% 신규 관세 부과 통지(철강&알루미늄 50%/자동차 25% 유지) => 8/1일까지 유예
- EU 210억유로 규모의 보복 관세 8월 초까지 유예(항공기/자동차/농산물 등). 10% 수준의 합의 목표
인도 52% 26% - 7/16일, 트럼프 대통령 무역합의 가능성 시사. 20% 이하의 관세율 협상 노력중
- 농업/유제품 외 산업재/항공기 등 구매 확대 및 시장 개방 협의중
캐나다 - 25% - 미국, 8/1일부터 35% 관세 부과 예고. 비USMCA 제품에 대해 10~15% 수준의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 존재. 목재, 철강, 알루미늄 관련 시장 개방, 펜타닐/불법이민 관련 조치에 협조
- 캐나다, 디지털 서비스세 철회, 개방, USMCA 면제 항목 확대 요구중
멕시코 - 10% - 미국, 8/1일부터 30% 관세 부과 예고. 펜타닐/이민자 관련 대응 협력
- 멕시코, 철강 관련한 쿼터제 부여, USMCA 성실 이행 요구

25% 관세율 추가 상승/유지/하락에 따른 이익 민감도

관세율 5%pt당 현대차 /기아의 연간 OP 민감도는 각각 1.1조원 /6,500억원 규모로 추정한다. 24년 OP 대비 각각 6%/5% , 관세 영향 반영된 25년 추정 OP 대비 10%/6% 규모다. 관세 우려로 자동차 실적 컨센서스 지속 하락해온 상황에서, 7~8월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실적 추정 및 투심 변화 가능성에 주목한다. 현재 한국산 자동차/부품에 부과되고 있는 25% 관세율 변화 양상에 따라, 자동차 업종의 투자 매력도 달라질 것이다. 관세율이 상승/유지/하락하는 세가지 케이스 중 추가 상승하지만 않는다면 자동차 업종의 추가적인 하방 우려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 관세율 부과에 따른 완성차 OP 영향 및 민감도

관세율 10% 15% 20% 25% 30% 35%
현대차 관세율 5%pt당 연간 영업이익 민감도 1.1조원. 2024년 OP 대비 7.7%/2025년 OP 대비 9.6%
관세 영향 (십억원) 2,191 3,287 4,382 5,478 6,573 7,669
조정 관세 영향 (십억원) 946 2,041 3,137 4,232 5,328 6,423
기아 관세율 5%pt당 연간 영업이익 민감도 6,500억. 2024년 OP 대비 5.1%/2025년 OP 대비 6.2%
관세 영향 (십억원) 1,297 1,945 2,594 3,242 3,890 4,539
조정 관세 영향 (십억원) 320 969 1,617 2,266 2,914 3,562

주1: 조정 관세 영향은 관세 부과에 따른 1) 인센티브, 2) 판가 인상, 3) FOB 가격 감안한 수치
주2: 관세율 변화에 따른 물량 및 추가 가격 조정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음

현대차 관세 영향 추정

2025년 -2.9조 영향 예상. 인센/가격 조정으로 +6,230억 보전 가능할 것으로 추정

구분 단위 2024A 2025E 2026E 2027E 참고
실제 관세 노출 천대 344 630 633 - 25/04/03 일 수출분부터 25% 관세 부과
한국 => 미국향 수출 천대 607 622 630 633 한국공장 => 미국 전체 수출물량
ASP 추정 백만원 34.8 34.8 34.8 34.8 2024년 이후 가격 인상분은 고려하지 않음
FOB 상품가액 달러 25,774 25,774 25,774 25,774 미국 ASP의 70% 가정
미국 ASP 달러 36,820 36,820 36,820 36,820 2024년 미국 수출차종 가격 가중평균
관세에 노출된 매출 십억원 11,960 21,911 22,021 - -
관세율 % - 25% 25% 25% -
관세 익스포저 십억원 2,865 5,478 5,505 - -
조정 관세 익스포저 십억원 2,296 4,232 4,195 - -
조정항목 십억원 623 1,246 1,310 - 관세 익스포저에 인센/가격 조정 감안한 영향 추정
인센티브 십억원 372 677 719 - -
인센 축소 천원 675 675 675 - -
인센 축소 달러 500 500 500 - 25.5월 미국 평균 인센 $500 축소/이후 유지 가정
가격조정 십억원 137 349 371 - -
대당 가격 인상 천원 348 348 348 - -
대당 가격 인상 달러 258 258 258 - 25.8월부터 1% 가격인상 가정
FOB 가격조정 십억원 114 219 220 - FOB 상품가액 조정은 미국 수출 물량에만 적용
대당 가격 인하 천원 348 348 348 - -
대당 가격 인하 달러 258 258 258 - 2H25 1% 가격인하 가정
미국 리테일 판매 천대 912 945 1,003 1,066 인센/가격 조정영향은 미국 전체 판매에 영향 가정
27년 북미 판매 목표 135만대/CAGR 6% 감안

기아 관세 영향 추정

2025년 -2.2조 영향 예상. 인센/가격 조정으로 +4,970억 보전 가능할 것으로 추정

구분 단위 2024A 2025E 2026E 2027E 참고
실제 관세 노출 천대 270 403 405 - 25/04/03 일 수출분부터 25% 관세 부과
한국 => 미국향 수출 천대 377 400 403 405 한국공장 => 미국 수출물량
ASP 추정 백만원 32.2 32.2 32.2 32.2 2024년 이후 가격 인상분은 고려하지 않음
FOB 상품가액 달러 23,859 23,859 23,859 23,859 미국 ASP의 70% 가정
미국 ASP 달러 34,084 34,084 34,084 34,084 2024년 미국 수출차종 가격 가중평균
관세에 노출된 매출 십억원 8,700 12,968 13,033 - -
관세율 % 25.0% 25.0% 25.0% - -
관세 익스포저 십억원 2,175 3,242 3,258 - -
조정 관세 익스포저 십억원 1,678 2,266 2,258 - -
조정항목 십억원 497 976 1,000 - 관세 익스포저에 인센/가격 조정 감안한 영향 추정
인센티브 십억원 326 573 589 - -
인센 축소 천원 675 675 675 - -
인센 축소 달러 500 500 500 - 25.5월 미국 평균 인센 $500 축소/이후 유지 가정
가격조정 십억원 111 274 281 - -
대당 가격 인상 천원 322 322 322 - -
대당 가격 인상 달러 239 239 239 - 2H25 이후 1% 가격인상 가정
FOB 가격조정 십억원 61 130 130 - FOB 상품가액 조정은 미국 수출 물량에만 해당
대당 가격 인하 천원 322 322 322 - -
대당 가격 인하 달러 239 239 239 - 2H25 이후 1% 가격인하 가정
연간 미국판매 (리테일) 천대 796 827 849 872 인센/가격 조정영향은 미국 전체 판매에 영향 가정
27년 북미 판매 목표 104만대/CAGR +3% 감안

글로벌 완성차 업체별 관세 영향 비교

Hyundai Kia GM Ford VW Benz Stell Toyota Honda Nissan
(1) ATP (달러) 37,862 37,862 52,471 54,557 56,112 76,159 52,906 44,835 38,500 33,681
(2) 매출 ASP (달러) 30,290 30,290 41,977 43,646 44,890 60,927 42,325 35,868 30,800 26,945
(3) 미국 수입 (천대) 663.4 476.6 1,176.3 396.4 521.7 209.5 358.4 782.9 211.5 479.5
(4) 매출 익스포저 (십억달러) 20 14 49 17 23 13 15 28 7 13
(5) 관세 규모 (십억달러) 5 4 12 4 6 3 4 7 2 3
(6) 24년 매출 (십억달러) 129 75 187 185 351 158 170 317 141 141
(7) 북미 매출 (십억달러) 56 35 154 13 73 38 69 124 87 10
(8) 24년 OP (십억달러) 10 9 15 10 20 14 9 32 10 1
(9) OP 대비 관세 48.1% 40.3% 83.5% 43.1% 29.7% 23.6% 40.0% 22.0% 17.0% 393.9%

계정 설명

(1) 2025.02 월 Cox Automotive ATP 인용
(2) 매출 ASP는 리테일 ATP의 80%로 가정
(3) 2024년 미국 자동차 수입 물량
(4) 매출 ASP * 미국 수입물량
(5) 매출 익스포저 * 관세부과 25% 적용
(6)&(7)&(8) 2024 년 기준 실적
(9) 2024년 영업이익 대비 관세 규모 추정액 비율

기본 가정

(1) 관세 부과에 따른 시장 총수요 변동은 고려하지 않음
(2) 관세 부과에 따른 생산 라인/지역 조정은 고려하지 않음
(3) 관세 부과에 따른 모든 비용부담은 완성차 100% 부담(비용 혹은 가격 전가 없음)
주: 완성차OEM간 영향 비교를 위한 분석으로 , 실제 현대차/기아 관세 영향 분석 수치와 차이 있음

25.03월 업종 시총 비중 회복

Upside +15%

구분 금액 비고
한국 시총 2,962.2 조원 코스피+코스닥
자동차 업종 시총 151.3 조원 Wics26 분류 기준
시총 비중 5.1 % -
3월 평균 시총비중 5.9 % -
3월 비중 회복 173.9 조원 -
Upside 14.9 % -

PBR 할인율폭 회복

Upside +18%

구분 금액 비고
코스피 PBR 0.99 배 -
자동차 업종 PBR 0.47 배 -
PBR 할인율 53 % -
3월 평균 PBR 할인율 44 % -
3월 평균 할인율 회복 0.56 배 -
Upside 18.4 % -

자동차 업종내 자사주 보유 비중 높은 상위 20개 업체

Compliance Notice

금융투자업규정 4-20조 1항5호사목에 따라 작성일 현재 사전고지와 관련한 사항이 없으며, 당사의 금융투자분석사는 자료작성일 현재 본 자료에 관련하여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당사는 동 자료에 언급된 종목과 계열회사의 관계가 없으며 당사의 금융투자분석사는 본 자료의 작성과 관련하여 외부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을 받지 않고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였습니다. 본 자료는 투자자들의 투자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Research Center의 추정치로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성이나 완벽성은 보장하지 않습니다. 본 자료를 이용하시는 분은 동 자료와 관련한 투자의 최종 결정은 자신의 판단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당사 리서치센터 보고서를 기반으로 생성된 요약·해설 자료입니다. 본 자료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자동 생성되었으며, 투자자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입니다. 일부 내용은 원문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최종 투자 판단은 원문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자료는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AI 생성 특성상 오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