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 류형근] 반도체: 테일러 수혜주 찾기 (Feat. 반도체 소부장)

핵심 요약

이번 보고서는 삼성전자가 미국 테일러시에 짓고 있는 공장에서 테슬라의 AI 반도체를 생산할 가능성이 높다는 소식에 주목합니다. 이로 인해 반도체 소부장 (소재, 부품, 장비) 기업들이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원익IPS, 솔브레인, 에스앤에스텍 등이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됩니다.

테슬라, 고마워요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7월 28일에 대규모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수주 계약을 발표했습니다. 계약 금액은 무려 22조 7600억 원에 달하며, 여러 상황을 고려했을 때 테슬라의 AI 반도체 생산 계약으로 추정됩니다. 이 계약은 미국 테일러 공장에서 2nm(나노미터) 공정으로 양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테일러 공장은 2026년 하반기부터 가동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파운드리: 다른 회사의 의뢰를 받아 반도체를 생산하는 사업
*2nm 공정: 반도체를 만드는 아주 미세한 기술. 숫자가 작을수록 더 작고 성능이 좋은 반도체를 만들 수 있음

반도체 소부장은 누굴 사야 할까?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은 일반적으로 변동성이 큽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동성을 활용해 높은 수익을 얻고자 합니다. 새로운 변화가 생길 때마다 소부장 기업들은 펀더멘털(기본적 분석) 개선 이상의 주가 상승을 보여왔습니다. 이번 테슬라 수주 건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시장의 열기가 식으면 현실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테슬라 수주가 실제로 소부장 기업들의 실적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지 따져봐야 합니다. 보고서는 이번 수주로 인해 실질적인 수혜를 볼 기업으로 원익IPS, 솔브레인, 에스앤에스텍, 에프에스티, 코미코 등을 제시합니다.

*펀더멘털: 회사의 기본적인 재무 상태나 수익성 등을 분석하는 것

구체적인 수혜 예상 기업

보고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합니다.

  1. 반도체 장비:
    • 원익IPS: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여러 장비(CVD/ALD)를 만듭니다.
    • 테스: 반도체 세정 장비 등에서 새로운 기회를 얻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피에스케이: 반도체 박막 제거 장비(PR Strip)를 만듭니다.
    • HPSP: 고압 수소 어닐링 장비 매출이 다시 늘고, 새로운 고압 산화막 장비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마커를 만듭니다.
    • 파크시스템스: 원자 현미경(AFM)을 만듭니다.
    • 에스티아이/유니셈: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인프라 장비를 만듭니다.
  2. 반도체 소재/부품:
    • 솔브레인: 반도체 회로를 깎는 데 사용하는 불산계 에천트(Etchant)를 만듭니다.
    • 동진쎄미켐: 반도체 회로를 그리는 데 사용하는 감광액(PR)을 만듭니다.
    • 에스앤에스텍: 블랭크 마스크를 만듭니다.
    • 에프에스티: 펠리클을 만듭니다.
    • 코미코: 반도체 부품 세정 및 코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CVD/ALD: 반도체 박막을 입히는 기술
*PR Strip: 반도체 웨이퍼에서 필요 없는 막을 제거하는 장비
*고압 수소 어닐링: 반도체 성능을 높이는 열처리 기술
*블랭크 마스크: 반도체 회로를 찍어내는 데 사용되는 원판
*펠리클: 마스크를 보호하는 얇은 막

OSAT와 Fabless는 어떻게 해야 할까?

OSAT(후공정)와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들은 단기적으로는 큰 수혜를 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테일러 공장에서 모든 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국내에서 후공정을 진행하는 것은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삼성 파운드리의 전반적인 영업 환경이 개선된다면 수혜를 볼 수도 있습니다. CIS(이미지 센서)와 엑시노스(모바일 AP)에서 기회를 찾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테일러 공장 투자 재개로 인한 수혜 가능성을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OSAT: 반도체 후공정 (조립, 테스트) 전문 기업
*팹리스: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
*CIS: 카메라 이미지 센서
*엑시노스: 삼성전자의 모바일 AP (스마트폰의 두뇌)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보고서에서는 원익IPS, 솔브레인, 에스앤에스텍, 에프에스티, 코미코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주가수익률

최근 1개월, 3개월, 6개월 동안의 절대수익률과 상대수익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Compliance Notice

금융투자업규정 4-20조 1항5호사목에 따라 작성일 현재 사전고지와 관련한 사항이 없으며, 당사의 금융투자분석사는 자료작성일 현재 본 자료에 관련하여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당사는 동 자료에 언급된 종목과 계열회사의 관계가 없으며 당사의 금융투자분석사는 본 자료의 작성과 관련하여 외부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을 받지 않고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였습니다. 본 자료는 투자자들의 투자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Research Center의 추정치로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성이나 완벽성은 보장하지 않습니다. 본 자료를 이용하시는 분은 동 자료와 관련한 투자의 최종 결정은 자신의 판단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당사 리서치센터 보고서를 기반으로 생성된 요약·해설 자료입니다. 본 자료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자동 생성되었으며, 투자자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입니다. 일부 내용은 원문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최종 투자 판단은 원문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자료는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AI 생성 특성상 오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