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번 실적발표에서 삼성전자는 2가지를 강조. DS 사업부문에서는 근원적 기술 경쟁력 회복을 , DX 사업부문에서는 신규 폼팩터 (TriFold, XR), AI 기능 강화를 통한 시장 선도를 강조. 지금의 Rally를 이어가려면 , 해당 2가지 부분에 대한 근거가 보다 명확해질 필요가 있다는 판단.
부진을 뒤로 하고, 개선의 근거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될 것이라 생각. Nvidia 제외 주요 고객사향 제품 인증 완료 효과로 HBM 출하량은 계단식 성장을 보여줄 것이며 , AI 파생 수요 (Grace CPU 향 LPDDR5x/SO -CAMM, GDDR7 등)에서의 기회요소가 보다 구체화되고 있는 만큼 질적, 양적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 하반기 메모리반도체 영업이익은 상반기 대비 82% 성장한 11.5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M&A를 통한 AI 대응력 강화 외에도 TriFold, XR 디바이스와 같은 신규 폼팩터에 대한 도전을 시작. TriFold와 XR 디바이스의 경우, 아직 시장 개화 초기 국면인 만큼 단기 이익에 강한 기여를 하긴 어렵지만 ,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시도를 한다는 부분에 시장은 보다 주목할 것이라 생각.
테슬라향 대규모 수주 계약 체결 후, 삼성전자를 바라보는 시장의 시각은 보다 낙관적으로 변화. 미래 성장을 위한 발판은 보다 구체화되고 있고, 분기 실적 (2Q25 4.7 조원, 3Q25 9.4 조원 전망) 모멘텀과 추가 주주환원에 대한 기대감도 유효. 주식에 대한 시각을 긍정적으로 가져가야 할 때라는 판단. 목표주가 88,000원과 매수의견 유지.
상반기의 부진을 딛고, 하반기에는 한층 개선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하반기 영업이익은 상반기 대비 82% 성장한 11.5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
시장의 기대 대비 부진한 성과가 이어지고 있으나 , 전체적으로 보면, HBM 사업 경쟁력은 저점을 통과하고 있는 모습이다 . Nvidia 외 주요 북미 거래선들향으로 HBM3e 양산 P/O를 확보한 것으로 추정되며 , 해당 효과 속, 하반기 판매량은 상반기 대비 144% 상승한 35.5억 Gb 수준에 달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
개선 흔적은 하반기 구간에 지속 확인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 Nvidia 의 Grace CPU 향 LPDDR5x 출하가 2Q25 에 시작되었고 , SO-CAMM 의 출하도 3Q25 부터 시작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 2025년 구간에 Nvidia 의 중국향 GPU 신제품 (RTX Pro 6000D) 향 GDDR7 을 독점 공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AI 노출도 는 다방면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질적으로도 , 양적으로도 개선된 모습을 하반기에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 다. 이를 기반으로 , 메모리반도체 매출액 1위를 재차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
중국향 AI 반도체 공급 차질에 따른 충당금 반영 (2Q25 충당금 : 0.4-0.5조원 추정)으로 상반기 실적은 시장 기대 대비 부진했다 (2Q25 비메모리반도체 영업이익 : 2.5-2.6조원 적자로 추정). 테슬라향 대규모 수주 건으로 사업에 대한 시장의 인식이 보다 낙관적으로 변모하는 가운데 , 단기 이익에 도 긍정적인 변화가 찾아오고 있다. 갤럭시 Flip 7/7FE 에 탑재되는 엑시노스 2500에 대한 양산이 본격화되기 시작했고 , 2025년 10-11월 구간에는 갤럭시 S26 시리즈향 채용이 예상되는 엑시노스 2600에 대한 양산도 시작된다 . 그렇다면 , 선단공정 가동률의 개선세는 눈에 보이기 시작할 것이고 , 줄어드는 분기 영업적자 폭에 시장도 긍정적으로 화답할 것이라 생각한다 .
갤럭시 Z폴드7의 성공적인 출시에 이어, 플렉트 그룹 인수를 통한 AI 포트폴리오 강화, TriFold 와 XR 디바이스 등의 신규 폼팩터 연내 출시 등을 기반으로 세트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갈 계획이다 . TriFold 와 XR 디바이스의 경우, 아직 시장 개화 초기 국면인 만큼 단기 이익에 강한 기여를 하긴 어렵지만 ,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시도를 한다는 부분에 시장은 보다 주목할 것이라 생각한다 .
3.9조원 규모의 3차 자사주 매입 분의 경우, 1.1조원은 임직원 상여 지급 등으로 활용하고, 2.8조원은 주주가치 제고 목적으로 취득할 예정이다 . 금번 실적발표에서 3차 자사주 매입 기한을 10월 8일까지로 단축할 계획이라는 점을 언급했고 , 이는 주가의 하방을 공고히 해주는 긍정적 변화라 생각한다 . 시장에서 추가적으로 기대하는 바가 있다면 , Value Up 프로그램 발표일 것이라 생각한다 . Value up 프로그램 발표를 통해 현금 활용 (Capex 의 Discipline 강화 등)에 대한 원칙을 보다 공고히 한다면 , 삼성전자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 그 가능성이 남아있는 만큼 비영업적 부분에 대한 변화 또한 우리가 하반기에 기대할 수 있는 기회요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
1Q25 | 2Q25P | 3Q25E | 4Q25E | 1Q26E | 2Q26E | 3Q26E | 4Q26E | 2024 | 2025E | 2026E | |
---|---|---|---|---|---|---|---|---|---|---|---|
환율 (KRW/USD) | 1,453 | 1,404 | 1,350 | 1,350 | 1,300 | 1,300 | 1,300 | 1,300 | 1,365 | 1,389 | 1,300 |
DRAM 출하량 (십억 Gb) | 24.5 | 27.3 | 29.9 | 30.6 | 29.8 | 31.3 | 33.1 | 33.8 | 105.9 | 112.3 | 128.0 |
QoQ | 0 | 11 | 10 | 2 | -2 | 5 | 6 | 2 | |||
YoY | -7 | -1 | 8 | 25 | 22 | 15 | 11 | 11 | 13 | 6 | 14 |
DRAM ASP/Gb (USD) | 0.37 | 0.38 | 0.44 | 0.44 | 0.44 | 0.45 | 0.47 | 0.46 | 0.38 | 0.41 | 0.46 |
QoQ | -20 | 2 | 16 | 1 | -1 | 3 | 5 | -3 | |||
YoY | 22 | 4 | 13 | -5 | 17 | 20 | 9 | 4 | 63 | 8 | 11 |
NAND 출하량 (십억 GB) | 55.6 | 71.1 | 74.7 | 69.4 | 68.7 | 72.9 | 79.4 | 82.2 | 268.2 | 270.8 | 303.2 |
QoQ | -11 | 28 | 5 | -7 | -1 | 6 | 9 | 3 | |||
YoY | -24 | 3 | 16 | 12 | 24 | 2 | 6 | 18 | 12 | 1 | 12 |
NAND ASP/GB (USD) | 0.076 | 0.073 | 0.076 | 0.072 | 0.070 | 0.072 | 0.074 | 0.069 | 0.09 | 0.07 | 0.07 |
QoQ | -16 | -5 | 5 | -5 | -3 | 3 | 3 | -7 | |||
YoY | 2 | -19 | -21 | -20 | -8 | -0 | -2 | -4 | 64 | -15 | -4 |
스마트폰 출하량 (백만 대) | 61 | 58 | 59 | 51 | 61 | 56 | 58 | 55 | 223 | 229 | 230 |
QoQ | 19 | -6 | 2 | -14 | 20 | -8 | 4 | -5 | |||
YoY | 2 | 8 | 2 | -1 | -1 | -3 | -2 | 8 | -2 | 3 | 0 |
스마트폰 ASP (USD) | 326 | 270 | 291 | 266 | 322 | 274 | 300 | 278 | 294 | 289 | 294 |
QoQ | 25 | -17 | 8 | -9 | 21 | -15 | 10 | -8 | |||
YoY | -3 | -3 | -2 | 2 | -1 | 2 | 3 | 4 | 3 | -2 | 2 |
자료: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금융투자업규정 4-20조 1항5호사목에 따라 작성일 현재 사전고지와 관련한 사항이 없으며, 당사의 금융투자분석사는 자료작성일 현재 본 자료에 관련하여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당사는 동 자료에 언급된 종목과 계열회사의 관계가 없으며 당사의 금융투자분석사는 본 자료의 작성과 관련하여 외부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을 받지 않고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였습니다. 본 자료는 투자자들의 투자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Research Center의 추정치로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성이나 완벽성은 보장하지 않습니다. 본 자료를 이용하시는 분은 동 자료와 관련한 투자의 최종 결정은 자신의 판단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당사 리서치센터 보고서를 기반으로 생성된 요약·해설 자료입니다. 본 자료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자동 생성되었으며, 투자자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입니다. 일부 내용은 원문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최종 투자 판단은 원문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자료는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AI 생성 특성상 오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