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 류형근] 삼성전자: 삼성전자의 메세지

이 보고서는 대신증권의 류형근 애널리스트가 작성한 삼성전자 분석 보고서입니다. 보고서에서는 삼성전자가 현재 시장에 전달하고자 하는 두 가지 핵심 메시지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첫째, DS 사업부문, 즉 반도체 부문에서는 기술 경쟁력 회복에 집중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둘째, DX 사업부문, 즉 스마트폰, TV 등 전자제품 부문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제품(예: TriFold, XR)과 AI 기술을 통해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이러한 메시지가 실제로 실현될 수 있을지에 대한 '근거'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며, 삼성전자의 목표 주가를 88,000원으로 유지하고 매수 의견을 제시합니다.

삼성전자가 시장에 전달한 2가지 메시지

이번 실적 발표에서 삼성전자는 두 가지 중요한 점을 강조했습니다. 첫째, 반도체 사업에서는 기술력을 다시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둘째, 스마트폰과 TV 같은 전자제품 사업에서는 새로운 디자인과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시장을 이끌겠다는 목표를 밝혔습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믿음을 주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확실한 증거가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판단합니다.

  1. 메모리 반도체: 과거의 어려움을 딛고, 실적 개선의 구체적인 증거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엔비디아를 제외한 주요 고객사들의 제품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고성능 메모리인 HBM의 출하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롭게 떠오르는 수요(예: Grace CPU용 LPDDR5x/SO-CAMM, GDDR7 등)를 통해 더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를 바탕으로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영업이익은 상반기 대비 82%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HBM(High Bandwidth Memory): 고대역폭 메모리. 일반적인 메모리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인공지능, 슈퍼컴퓨터 등에 사용됩니다.
    *LPDDR5x: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저전력 고성능 메모리입니다.
    *SO-CAMM: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작은 크기의 메모리 모듈입니다.
    *GDDR7: 그래픽 카드에 사용되는 고성능 메모리입니다.

  2. DX 사업부문: 인공지능 관련 기업 인수합병(M&A)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디자인의 제품(TriFold, XR 디바이스)을 출시하여 시장을 선도하려 하고 있습니다. TriFold와 XR 디바이스는 아직 시장 초기 단계이므로 단기간에 큰 이익을 내기는 어렵겠지만,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려는 시도 자체에 시장은 주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TriFold: 세 번 접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폰입니다.
    *XR 디바이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기술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M&A (Mergers and Acquisitions): 기업 인수 합병

목표주가 88,000원과 매수 의견 유지

테슬라와 대규모 계약을 체결한 이후, 삼성전자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미래 성장을 위한 발판이 마련되고 있고, 분기별 실적도 꾸준히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추가적인 주주 환원 정책에 대한 기대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따라서 삼성전자 주식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해야 할 때라고 판단하며, 목표주가 88,000원과 매수 의견을 유지합니다.

*주주환원: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들에게 되돌려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배당금 지급, 자사주 매입 등).

메모리반도체, 무엇이 하반기의 개선을 이끌까?

상반기의 부진을 딛고, 하반기에는 메모리 반도체 사업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반기 영업이익은 상반기 대비 82% 성장한 11.5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1. HBM, 분기 개선세 지속: 시장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HBM 사업 경쟁력은 점차 회복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엔비디아 외 주요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HBM3e 양산 계약을 확보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하반기 판매량은 상반기 대비 144% 증가한 35.5억 Gb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 삼성전자는 이번 실적 발표에서 HBM4 초기 샘플을 주요 고객사에게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8월에는 엔지니어링 샘플(ES), 11월에는 고객 샘플(CS)을 거쳐 2026년 2월에는 최종 제품 인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HBM3e: HBM3의 성능을 개선한 차세대 고대역폭 메모리입니다.
      *Engineering Sample (ES): 제품 개발 과정에서 성능 테스트를 위해 만드는 샘플입니다.
      *Customer Sample (CS): 고객에게 제공하여 테스트를 거치는 샘플입니다.

    • HBM4 사업의 성공 여부를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경쟁사보다 앞선 기술을 적용하여 속도와 발열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HBM4 샘플 요청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긍정적인 사업 환경이 조성될 수 있습니다.

  2. HBM 외 반도체, AI 파생 수요가 가져올 기회: 엔비디아의 Grace CPU용 LPDDR5x 출하가 2분기부터 시작되었고, SO-CAMM 출하도 3분기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2025년에는 엔비디아의 중국 시장용 GPU 신제품(RTX Pro 6000D)에 GDDR7을 독점 공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인공지능 관련 시장에서의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메모리 반도체 매출액 1위를 다시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 컴퓨터에서 그림을 그리고 화면에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추가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1. 비메모리 반도체: 중국 시장의 인공지능 반도체 공급 차질로 인해 2분기 실적은 부진했지만, 테슬라와의 대규모 수주 계약을 통해 시장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갤럭시 Flip 7/7FE에 탑재되는 엑시노스 2500 양산이 본격화되고, 2025년 10~11월에는 갤럭시 S26 시리즈에 탑재될 엑시노스 2600 양산도 시작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생산 설비 가동률이 개선되고, 영업 적자 폭이 줄어들면서 시장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2. 세트, 새로운 도전이 만들어낼 가치: 갤럭시 Z폴드7의 성공적인 출시에 이어 플렉트 그룹 인수를 통한 AI 포트폴리오 강화, TriFold와 XR 디바이스 등의 신규 폼팩터 연내 출시 등을 기반으로 세트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갈 계획입니다. TriFold와 XR 디바이스의 경우, 아직 시장 개화 초기 국면인 만큼 단기 이익에 강한 기여를 하긴 어렵지만,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시도를 한다는 부분에 시장은 보다 주목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폼팩터: 제품의 물리적인 형태나 디자인을 의미합니다.

  3. 비영업적 부분에서도 변화를 기대: 3.9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 중 1.1조원은 임직원 상여금으로 지급하고, 2.8조원은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사용할 예정입니다. 자사주 매입 기한을 10월 8일까지 단축하기로 한 점은 주가 하락을 막는 긍정적인 변화로 해석됩니다. 또한, 시장에서는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를 통해 현금 활용에 대한 원칙을 명확히 한다면, 삼성전자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입니다.

    *자사주 매입: 기업이 자기 회사의 주식을 다시 사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가를 안정시키고 주주 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밸류업 프로그램: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한 정부 주도의 정책입니다.

삼성전자 : 주요 가정 (수정 후)

아래 표는 삼성전자의 실적 전망에 대한 주요 가정들을 보여줍니다. 대신증권 리서치센터에서 작성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환율, DRAM 및 NAND 출하량, 스마트폰 출하량 및 ASP(평균 판매 가격)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미래 실적을 예측하고 있습니다.

환율: 2025년 1분기 1,453원에서 점차 하락하여 4분기에는 1,350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6년에는 1,300원으로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DRAM 출하량: 2025년 꾸준히 증가하여 4분기에는 30.6십억 Gb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6년에도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DRAM ASP: 2025년 2분기 0.38 USD/Gb에서 3, 4분기에는 0.44 USD/Gb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6년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NAND 출하량: 2025년 2분기에 크게 증가한 후 3분기에는 소폭 증가, 4분기에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6년에는 다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NAND ASP: 2025년 2분기 0.073 USD/GB에서 3분기에 소폭 상승 후 다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6년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스마트폰 출하량: 2025년 1분기 61백만 대에서 4분기 51백만 대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연간으로는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6년에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마트폰 ASP: 2025년 1분기 326 USD에서 2분기에 270 USD로 감소한 후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성전자 : 실적 추이 및 전망 (수정 후)

아래 내용은 삼성전자의 분기별 실적 추이와 향후 전망을 나타냅니다. 매출액, 영업이익 등을 사업 부문별로 세분화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매출액: 2025년 1분기 79.1조원에서 2분기 74.6조원으로 감소하지만, 3분기에는 82.1조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DS 사업부문: 메모리 반도체와 비메모리 반도체를 포함하는 부문으로, 2025년 하반기부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DX 사업부문: 스마트폰(MX/Network)과 TV(CE/VD)를 포함하는 부문으로, 2025년에도 꾸준한 실적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영업이익: 2025년 1분기 6.7조원에서 2분기 4.7조원으로 감소하지만, 3분기에는 9.4조원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재무제표

삼성전자의 재무 상태와 관련된 요약 정보입니다. 포괄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를 통해 회사의 수익성, 안정성, 현금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매출액: 2023년 258.9조원에서 2027년 361.6조원으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영업이익: 2024년 32.7조원에서 2025년 28.4조원으로 감소하지만, 2026년과 2027년에는 다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자산총계: 2023년 455.9조원에서 2027년 597.5조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채총계: 2023년 92.2조원에서 2027년 120.9조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본총계: 2023년 363.7조원에서 2027년 476.6조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Valuation 지표

삼성전자의 주식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EPS(주당순이익), PER(주가수익비율), BPS(주당순자산), PBR(주가순자산비율) 등을 통해 회사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EPS: 2024년 4,950원에서 2025년 3,965원으로 감소하지만, 2026년과 2027년에는 다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PER: 2024년 10.7배에서 2025년 17.8배로 증가하지만, 2026년과 2027년에는 다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BPS: 2023년 52,002원에서 2027년 68,908원으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PBR: 2024년 0.9배에서 2025년 1.2배로 증가하지만, 2026년과 2027년에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Compliance Notice

금융투자업규정 4-20조 1항5호사목에 따라 작성일 현재 사전고지와 관련한 사항이 없으며, 당사의 금융투자분석사는 자료작성일 현재 본 자료에 관련하여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당사는 동 자료에 언급된 종목과 계열회사의 관계가 없으며 당사의 금융투자분석사는 본 자료의 작성과 관련하여 외부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을 받지 않고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였습니다. 본 자료는 투자자들의 투자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Research Center의 추정치로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성이나 완벽성은 보장하지 않습니다. 본 자료를 이용하시는 분은 동 자료와 관련한 투자의 최종 결정은 자신의 판단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당사 리서치센터 보고서를 기반으로 생성된 요약·해설 자료입니다. 본 자료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자동 생성되었으며, 투자자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입니다. 일부 내용은 원문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최종 투자 판단은 원문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자료는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AI 생성 특성상 오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